요즘 각종 뉴스나 유튜브를 보다 보면 출생아 수가 계속 줄어들고 있고, 출산율이 계속 낮아지고 있어서 대한민국이 망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콘텐츠가 굉장히 많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한 집에 5~6명씩도 낳았다고 하는데, 요즘에는 결혼도 잘하지 않을뿐더러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를 낳지 않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연도별 출생아 수, 합계출산율, 출생 남녀 성비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도별 출생아 수, 합계출산율, 출생남녀 성비
연도별 출생아 수, 합계출산율, 남녀출생 성비에 대해서 통계청 자료를 가져와서 엑셀 표 양식으로 보기 좋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뉴스에서 전년도 합계출산율이 0.78이었다, 이번 분기 합계출산율은 0.7으로 역대 최저치를 찍었다던가 하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리고 출생 남녀 성비의 경우에도 90년대에는 과할 정도로 남아 출생률이 더 높다가, 최근에는 자연성비로 돌아섰다는 이야기도 많이 들었을 겁니다. 아래 자료를 보면 현재 상황이 이해되실 것 같습니다.
[연도별 출생아 수, 합계출산율, 출생성비]
연도 | 출생아 수(명) | 합계출산율(명) | 출생 남녀 성비(명) |
1970 | 1,006,645 | 4.53 | 109.5 |
1971 | 1,024,773 | 4.54 | 109 |
1972 | 952,780 | 4.12 | 109.5 |
1973 | 965,521 | 4.07 | 104.6 |
1974 | 922,823 | 3.77 | 109.4 |
1975 | 874,030 | 3.43 | 112.4 |
1976 | 796,331 | 3 | 110.7 |
1977 | 825,339 | 2.99 | 104.2 |
1978 | 750,728 | 2.64 | 111.3 |
1979 | 862,669 | 2.9 | 106.4 |
1980 | 862,835 | 2.82 | 105.3 |
1981 | 867,409 | 2.57 | 107.1 |
1982 | 848,312 | 2.39 | 106.8 |
1983 | 769,155 | 2.06 | 107.3 |
1984 | 674,793 | 1.74 | 108.3 |
1985 | 655,489 | 1.66 | 109.4 |
1986 | 636,019 | 1.58 | 111.7 |
1987 | 623,831 | 1.53 | 108.8 |
1988 | 633,092 | 1.55 | 113.2 |
1989 | 639,431 | 1.56 | 111.8 |
1990 | 649,738 | 1.57 | 116.5 |
1991 | 709,275 | 1.71 | 112.4 |
1992 | 730,678 | 1.76 | 113.6 |
1993 | 715,826 | 1.654 | 115.3 |
1994 | 721,185 | 1.656 | 115.2 |
1995 | 715,020 | 1.634 | 113.2 |
1996 | 691,226 | 1.574 | 111.5 |
1997 | 675,394 | 1.537 | 108.2 |
1998 | 641,594 | 1.464 | 110.1 |
1999 | 620,668 | 1.425 | 109.5 |
2000 | 640,089 | 1.48 | 110.1 |
2001 | 559,934 | 1.309 | 109 |
2002 | 496,911 | 1.178 | 109.9 |
2003 | 495,036 | 1.191 | 108.6 |
2004 | 476,958 | 1.164 | 108.2 |
2005 | 438,707 | 1.085 | 107.8 |
2006 | 451,759 | 1.132 | 107.6 |
2007 | 496,822 | 1.259 | 106.2 |
2008 | 465,892 | 1.192 | 106.4 |
2009 | 444,849 | 1.149 | 106.4 |
2010 | 470,171 | 1.226 | 106.9 |
2011 | 471,265 | 1.244 | 105.7 |
2012 | 484,550 | 1.297 | 105.7 |
2013 | 436,455 | 1.187 | 105.3 |
2014 | 435,435 | 1.205 | 105.3 |
2015 | 438,420 | 1.239 | 105.3 |
2016 | 406,243 | 1.172 | 105 |
2017 | 357,771 | 1.052 | 106.3 |
2018 | 326,822 | 0.977 | 105.4 |
2019 | 302,676 | 0.918 | 105.5 |
2020 | 272,337 | 0.837 | 104.8 |
2021 | 260,562 | 0.808 | 105.1 |
2022 | 249,186 | 0.778 | 104.7 |
합계 출산율 뜻과 계산 방법
뉴스에서 출산율을 이야기할 때, 합계 출산율을 기준으로 많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0.78, 0.7이라는 수치도 이를 의미하는데요.
1. 합계출산율의 뜻
한 국가나 사회에서 출산율을 나타내는 지표의 한 종류로서, 해당 국가에서 '한 명의 여성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의 수'라고 보면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15세부터 49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계산된 수치입니다.
2. 합계출산율 계산 방법
우리나라에서는 합계출산율을 계산할 때 15세부터 49세의 모든 여성의 출산율을 계산한 뒤 이를 모두 합산하는 방식으로 구합니다.
예를 들어서, 2022년의 대한민국 합계 출산율을 계산한다고 하면 2022년 대한민국 15세 여성의 출산율 + 16세 여성의 출산율 + 17세 여성의 출산율 + ... + 45세 여성의 출산율을 모두 더하는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정확히는 연앙인구나 수치를 1000으로 곱했다가 다시 1000으로 나누는 과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만, 이해하기 쉽도록 아래와 같이 표기하였습니다.)
<계산 과정>
15세 여성의 출산율 = 2022년 기준 그 해 15세 여성이 낳은 전체 아이의 수 / 2022년 기준 15세 여성의 전체 수
16세 여성의 출산율 =. 2022년 기준 그 해 16세 여성이 낳은 전체 아이의 수 / 2022년 기준 16세 여성의 전체 수
...
30세 여성의 출산율 = 2022년 기준 그 해 30세 여성이 낳은 전체 아이의 수 / 2022년 기준 30세 여성의 전체 수
...
45세 여성의 출산율 = 2022년 기준 그 해 45세 여성이 낳은 전체 아이의 수 / 2022년 기준 30세 여성의 전체 수
출생 남녀 성비 계산 방법
위에서 말씀드렸던 출생 시 남녀 성비 105, 106 이런 수치는 태어난 여자아이 100명당 남자아이 수는 얼마나 태어났는지 비교하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서 특정 연도에 전체 여자아이가 100명 태어났는데, 남자아이가 110명이 태어났다면 그 해의 출생성비는 110이 됩니다. 과거에 우리나라에 남아선호사상이 강할 때는 110 이상의 수치가 나타났었으나 최근에는 흔히 자연성비라고 보는 105에 인접한 수치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이 됩니다.
'각종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리스 커피 고객센터 전화번호, 자주 묻는 질문, 매장 찾기, 멤버십 등급별 혜택 (0) | 2023.10.03 |
---|---|
이디야 커피 고객센터 전화번호, 자주 하는 질문, 매장 찾기, 멤버십 혜택 (1) | 2023.10.03 |
세븐일레븐 고객센터 전화번호, 자주 하는 질문, 택배 및 생활편의 서비스 (1) | 2023.10.02 |
던킨도너츠 고객센터 전화번호, 자주 묻는 질문(FAQ), 매장 위치 찾기 (0) | 2023.10.01 |
미니스톱 고객센터 전화번호, 자주 하는 질문, 매장찾기, 치킨 메뉴 가격 (1) | 2023.10.01 |
댓글